10월 31일 할로윈 파티에서

Loading

할로윈(Halloween) 이란 ‘All Hallows Eve’ 란 말에서 나왔습니다. 그날은 10월 31일을 뜻하는데요, 북서부 유럽에서는 여름의 마지막 날이기도 합니다. 그 다음날 11월 1일은 ‘All Saints Day’ 혹은 ‘All Hallows Day’ (모든 성인(종교적 성인) 들의 날: 성은 성스럽다는 뜻) 이니까 할로윈은 그날의 이브가 되겠지요.
할로윈의 기원은 기원후(반대말은 기원전)에 고대 아일랜드와 스콧틀랜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여기에 살던 켈트족들은 이 여름의 마지막 날은 기념했답니다.  이 시기에 동물들은 우리와 헛간에 거둬 들이기도 하고 겨울을 날 준비도 하기도 했습니다. 이 때가 추수의 시기이기도 하구요.  그 당시 사람들은 이런 계절이 변화하는 시기에 죽은 사람의 영혼들이 들어가 살 몸체를 찾는다는 미신을 갖고 있었습니다.
살아있는 사람들은 당연히 그런 귀신들에 사로잡히길 원치 않았기에,  귀신들은 혼란스럽게 하고 무섭게 하기 위해 분장을 하고 변장을 한 체로 떠들썩하게 퍼레이드를 벌렸답니다. 또 켈트족들에겐 새해의 시작이 11월 1일이라서(참고로 미국의 회계년도 시작은 7월 1일 입니다) 할로윈날은 지나간 해도 아니고, 또 다가올 새해도 아니고 해서, 그날은 혼란이 지배하는 날이라고 여겨졌습니다.
훗날 5세기 경엔 카톨릭 교회가 발달해서 이 지역으로 들어오게 되었는데 할로윈이 새해를 기념하는 것이 아닌  종교적인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카톨릭에선 11월 1일이 카톨릭 교회의모든 성인들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나중엔 11월 2일에 사람들이 집집마다 찾아가서 각 집의 죽은 친척들을 위해 기도를 해주겠다는 댓가로 케익을 얻어 먹는 관습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그 당시 사람들은  죽은 사람은 천당과 지옥에 가기 전에 중간 상태에 있게 되는데, 산 자들의 기도가 죽은 자들이 천당이나 지옥으로 가는 것에 영향을 준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던 거지요. 이것이 trick or treat 의 유래이기도 합니다.  할로윈이 되면 아이들이 분장을 하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trick or treat 라고 말하면 그 집에 사는 사람들은 사탕과 쵸콜렛을 줍니다. 우리에게 사탕을 주지 않으면(treat), 속임수를 쓰겠다(trick)는(죽은 친척들이 지옥에 가도록 놔 두겠다는) 아기자기한 협박인 셈입니다.
이렇듯 할로윈은 켈트족의 생활 의식에 관계된 미신과  초기 카톨릭 교회의 전통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것입니다.
한국에서 얼마전부터 부유한 계층의 자녀들을 상대로 가르치는 영어학원에서 할로윈 파티를 열면서, 아이들이  분장 값에 엄청난 돈을 쓰는  잘못된 풍토가 생겨나고 있답니다. 남의 나라의 풍습을 이해하는 것은 좋으나 우리의 좋은 풍습들은 팽개치고, 무조건 남의 것을 따라하는 그런 일들은 이제는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더구나 할로윈은 일부 영국 지방과 켈트족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미국에서만 지켜지는 풍습입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