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4

NYT “미국 부실 검역체계가 쇠고기 불신 초래”

Loading

(뉴욕=연합뉴스) 김계환 특파원 = 미국의 광우병 검역체계에 대한 불신이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논란을 불러온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는 12일 인터넷판 기사에서 지난 2003년 미국 내에서 처음으로 광우병이 발생한 직후 나타난 혼란스런 상황과
농무부가 보인 방어적인 반응이 미국 소비자단체의 회의론을 촉발시켰으며 외국 쇠고기 시장 재개방을 위한 협상을 어렵게 만들었면서
미국 검역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 신문은 광우병 발생 당시 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에 도축된 소가 1만파운드의 다른 육류와 함께 섞여 햄버거용으로 가공됐으며
슈퍼마켓에 공급됐다면서 광우병 발생 사실을 확인한 이후 리콜이 실시됐으나 이미 많은 양이 소비됐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라고
소개했다.

신문은 광우병 위험물질이 많은 척수까지도 애완동물이나 돼지 사료공장으로 보내졌다면서 농무부가 이후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고 발표했음에도 외국 소비자들은 여전히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데는 부실한 미국의
검역체계에 대한 의구심이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신문은 특히 농무부가 미국에서 도축되는 연간 3천만마리의 소 가운데 극히 일부 만을 검사하고 있다는 것이 외국 소비자들의 불신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소라고 지적했다.

반추동물에서 나온 단백질을 다른 반추동물에 공급하는 것을 금지한 지난 1997년 미국이 검사대상으로 삼은 소는 219마리였으며 첫번째 광우병이 발생한 2003년의 조사대상도 연간 2만마리에 불과했다.

반면 당시 유럽국가들은 연간 1천만마리를 검사하고 있었으며 일본은 연간 도축되는 120만마리를 모두 검사하고 있었다.

미 농무부는 첫 번째 광우병 발생 이후 제기된 검사대상 확대요구에 검사가 식품안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감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는 이유를 들어 저항하다 마지못해 연간 4만마리로 조사대상을 늘렸을 뿐이다.

뉴욕타임스는 또한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다는 주장이 식품의약청(FDA)이 아닌 농무부에서 나온 것도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신문은 농무부가 기본적으로 농민의 이해를 보호하고 농산물 판매확대를 지원하는 존재하는 관청인데다 당시 농무부 장관인 앤 베너먼과 장관 대변인이 식품업계 로비스트 출신이었다고 점은 주목할만하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지난 2004년 FDA가 소에 공급하는 사료 제한 조치를 발표했지만 농무부의 비협조와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이행되지 못했다면서 심지어 쇠고기 생산업체의 전수조사 허용 요청마저도 농무부에 의해 묵살된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캔자스주 쇠고기생산업체인 크릭스톤팜스 프리미엄비프는 2004년 일본에 대한 쇠고기수출을 위해 도축하는 소에 대한 전수검사
허용을 요청했지만 농무부는 전수검사가 과학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소비자 안전 측면을 암시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거부했다.

이에 대해 소비자단체는 격분했지만 마리 당 25달러의 비용이 드는 검사가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았던 쇠고기 업계는 환호했다.

신문은 농무부가 두 번째 광우병이 발생한 2005년에는 7개월 동안이나 일부 검사에서 양성반응이 나왔다는 사실을 은폐하기도
했다면서 지난 2월 휴먼 소사이어티가 공개한 다우너 소 강제 도축장면도 농무부의 식품안전 규정 이행에 대한 의지를 의심케 하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